티스토리 / / 2023. 6. 19. 13:58

[구글 서치 콘솔 등록하기!] 블로그 수익내기위한 필수!

반응형

 

반응형

구글 서치 콘솔이 무엇일까요? 

구글 서치 콘솔은 웹마스터 도구로, 웹 페이지를 관리하고 구글 검색 결과에 나타날 수 있도록 돕는 도구입니다. 이곳에서 웹 페이지의 성능, 색인 상태, 검색 트래픽 등을 모니터링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의 역할과 중요성

구글 서치 콘솔은 웹 페이지를 구글에게 알리고 색인화되도록 유도하여 검색 엔진 최적화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웹 페이지의 검색 결과에서 특정 페이지를 제어하고 향상시킬 수 있어 가시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색인 정의: 

페이지에 우선순위를 매겨 나열한 목록입니다. 즉 구글 페이지에 올려진다는 뜻입니다.

구글 서치 콘솔 등록
구글 서치 콘솔 등록하기 방법

 

블로그를 처음 만들면 구글 페이지에 색인이 되어있지않습니다. 자동으로 구글 로봇이 색인을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과 시간에 비례하는 방문자 수, 검색량이 따라야합니다. 저희는 기다릴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처음 블로그를 만드신다면 색인을 수동으로 등록해주어야 합니다.  그렇다고 무조건 상위 노출은 아닙니다. 하지만 꼭 해야하는 세팅은 맞습니다.

아래 순서대로 천천히 따라하시길 바랍니다!

 

 

구글 서치 콘솔 등록하기

 

구글 서치 콘솔 사이트 접속하기.

구글 서치 콘솔 사이트
구글 서치 콘솔 사이트

접속한 후에 [URL 접두어]에 나의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를 복사 붙여넣기를 합니다.

 

나의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페이지 접속하기.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페이지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페이지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페이지]입니다. 왼쪽 상단에 이미지 밑에 [주소]를 복사하셔서 붙여넣기 하시면 됩니다.

붙여넣기 한 후 [계속] 을 누릅니다. 인증 계속 중을 기다립니다.

 

HTML 태그에서 메타 태그 복사하기

html태그 복사
HTML 태그

[HTML 태그]를 옆을 클릭한 후 나오는 창에서 [복사] 버튼을 눌러 글을 복사합니다.

 

[블로그 관리 페이지] > [꾸미기] > [스킨편집] 들어가기

스킨편집
스킨 편집 창

[스킨 편집]창에서 오른 상단의 [html 편집] 을 누릅니다.

html편집
html 편집

<head> 부분의 오른쪽에 마우스 커서를 가져다대고 클릭한 후 엔터를 눌러 한 칸을 만듭니다.

그 상태에서 Ctrl + V를 합니다. [적용]을 눌러줍니다.

 

이제 [구글 콘솔 사이트]에 다시 가서 [확인]을 눌러줍니다 

 

서치 콘솔 설정하기

서치 콘솔 설정
sitemap 들어가기

 

Sitemaps 과 rss을 제공하여 구글 로봇이 우리의 글을 잘 옮기게 도와줍니다.

[Sitemaps] 클릭 합니다. 

sitemap.xml 넣기
sitemap.xml 넣기

 

[새 사이트맵 추가] 에서 빈칸에 sitemap.xml를 기입하고 [제출]을 누릅니다.

rss 넣기
rss 제출

[새 사이트맵 추가] 에서 빈칸에 rss 를 기입하고 [제출]을 누릅니다.

 

사이트맵 성공
사이트맵 성공

[제출된 사이트맵] 에서 [상태]>[성공] 이 뜬 것을 확인합니다. [가져올 수 없음]이 뜬다면 F5 새로고침을 하거나 다시 기입을 하여 제출을 합니다.

 

이제는 구글 로봇이 자동으로 저희의 포스팅 글을 옮기기 시작할 것입니다. 

그렇게 구글 페이지에 색인이 되어 우리의 블로그 글이 노출되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는 너무 늦습니다. 왜냐하면 구글 로봇은 당연히 우선 순위가 있을테고 포스팅 글이 얼마 없거나 방문자 수가 얼마 있지않다면 구글로봇은 쳐다보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게 색인이 되지않겠죠.

그래서 색인 요청을 수동으로 하여 구글 페이지에 색인이 되도록 해보겠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 색인 요청하기

 

자신의 포스팅 글 복사
자신의 포스팅 글을 복사한다

자신의 포스팅 글이 색인이 된다면 구글 페이지에서 자신의 블로그가 노출이 된다는 뜻이겠죠?

그렇기 때문에 블로그 주소를 복사합니다

구글 서치 콘솔 사이트 등록
구글 서치 콘솔&nbsp; 사이트

구글 서치콘솔 사이트 상단의 검색창에 자신이 복사한 주소를 붙여넣기 합니다.

URL 검사창
URL 검사 창

[URL 검사] 창에서 [URL이 Google에 등록되어 있지 않음] 이라고 뜰 것입니다.

아직 구글이 색인을 하지않았으니까요. 그렇기에 우리는 [색인 생성 요청]을 누릅니다.

색인이 완료된 문구
색인이 완료된 문구

[색인 생성 완료]바로는 구글 페이지에 색인이 되지 않습니다. 

저는 잠을 자고오니 색인이 되어있더군요 !!! 

 

 

결론

이렇게 구글 서치 콘솔, 색인 요청을 해보았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에 접속 후 자신의 블로그 주소를 넣고 HTML 편집을 하고 구글 서치 콘솔 사이트에서 포스팅 주소를 넣고 색인 요청을 각각 하는 것이라고 요약할 수 있네요.

색인 요청은 하루에 대략 9개 정도로 가능합니다. 또한 색인은 자동이나 수동으로 할 수 있는데요. 오래되고 인지도가 있으면 색인이 자동으로 됩니다. 구글 로봇이 자동으로 해주기 때문이죠. 하지만 저는 초보 블로거있고 그렇게 오래하지 않았기에 수동으로 색인 요청을 하였습니다. 또한 색인이 되었구요! 

이렇게 애드센스 기반을 다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이렇게 글을 마치겠습니다.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블로그 생활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